본문 바로가기

미술

‘꼭 알아야 할 미술 기법 20가지

‘꼭 알아야 할 미술 기법 20가지

1. 기본의 첫걸음과 손맛을 익히는 기법들

  • 스케치(Sketch): 연필로 가볍게 형태를 잡아보는 연습이에요. 머리속 이미지를 손끝으로 끄집어내는 첫 단계죠.
  • 해칭 / 십자해칭 (Hatching / Cross-hatching): 여러 겹의 얇은 선을 겹쳐서 밝고 어두움을 표현하는 방법이에요. 선이 촘촘하면 어둡고, 벌어지면 밝아 보여요.
  • 드라이브러시 (Drybrush): 붓에 물감을 거의 묻히지 않고 거칠게 칠해 나뭇결, 모래 등의 질감을 표현해요 
  • 임파스토 (Impasto): 물감을 두껍게 올려서 붓 자국이 그대로 살도록 하는 기법이에요. 입체적인 느낌이 살아있죠. 반 고흐의 ‘별이 빛나는 밤’, 렘브란트의 초상에 쓰인 방식입니다

2. 색과 표현을 풍부하게 만드는 기법과 예시

  • 색 혼합 (Color Mixing): 빨·파·노 세 가지 기본색으로 무궁무진한 색을 만드는 재미가 있죠.
  • Wet‑on‑Wet: 젖은 캔버스에 젖은 붓으로 칠해 색끼리 부드럽게 섞이는 효과예요
  • 스티플링 (Stippling): 작은 점을 찍어서 그림을 표현해요. 점을 촘촘히 찍으면 어둡게, 띄엄띄엄 찍으면 밝아지는 효과를 줄 수 있죠
  • 스플래터링 (Splattering): 붓으로 물감을 튀겨서 역동적인 표현을 해요. 감정이나 움직임을 표현할 때 유용해요
  • 스컴블링 (Scumbling): 마른 붓에 희미한 색을 얹어 흐릿하고 부드러운 분위기를 만드는 기법이에요
  • 워시 (Wash): 투명하거나 반투명한 물감층을 얇게 바르는 방식으로, 분위기 있는 백그라운드를 만들 때 좋아요

3. 다양한 소재와 표현을 섞어보기

  • 콜라주 (Collage): 종이, 천, 사진 같은 재료를 붙여 하나의 작품을 만드는 기법이에요. 입체감 있고 감정도 풍부하게 전달돼요.
  • 그라타주 (Grattage): 칠한 그림 위를 긁어서 아래 색을 드러내며, 숨겨진 감정을 꺼내는 표현 방식입니다 
  • 포어링 (Pouring): 붓을 쓰지 않고 물감을 그대로 흘려 자연스럽게 색이 번지도록 하는 기법이에요.
  • 팔레트 나이프 (Palette Knife): 넓적한 도구로 색을 긁어 바르고, 질감과 입체적인 느낌을 풍부하게 표현할 수 있어요.
  • 스크래치 (Sgraffito): 위에 칠한 색을 긁어내고 아래층 색을 드러내는 기법으로, 레이어를 통한 깊이와 문양 표현에 좋아요 예술가 미랄피야 데비는 사막 식물을 형상화한 도자기에 sgraffito를 활용했어요

4. 전통의 깊이와 현대의 실험을 잇는 기법들

  • 언더페인팅 (Underpainting): 먼저 밑그림 혹은 어두운 톤으로 기초를 깔아 나중의 색이 돋보이도록 만드는 기법이에요 
  • 글레이징 (Glazing): 반투명한 색을 여러겹 쌓아 색을 깊게 하고 빛나는 느낌을 줘요. 르네상스 시대부터 사용된 기법입니다 
  • 전통 기법의 현대 재해석: 예를 들어 전통 세라믹 기법인 sgraffito를 현대 도자기에 현대적 감성으로 적용하는 사례도 많아요—문화와 예술을 이어줘요 

기법과 예시를 함께 정리해볼까요?

구분기법사용 예시
기본 표현 스케치, 해칭, 드라이브러시, 임파스토 드라이브러시로 나뭇결 표현, 반 고흐의 별밤에서의 임파스토 사용 
색 표현 색 혼합, Wet-on-Wet, 스티플링, 스플래터링, 스컴블링, 워시 점을 찍어 그림을 입체적으로 표현, 흐릿한 분위기 표현
혼합 기법 콜라주, 그라타주, 포어링, 팔레트 나이프, 스크래치 다양한 재료 활용한 감정 표현, 아래 색 노출로 문양 강조 
전통+현대 언더페인팅, 글레이징, 전통 기법 재해석 색의 깊이와 빛 표현, 문화적 유산을 현대 예술과 연결